티스토리 뷰

반응형

▣ 목차

3세대 실손의료보험 총정리
3세대 실손의료보험 총정리

 

 

1. 3세대 실손의료보험이란?

 

3세대 실손의료보험(실비보험)은 2017년 4월부터 2021년 6월까지 판매된 실손보험 상품으로, 2세대 실손보험보다 자기 부담금이 늘어나고 보장 범위가 조정된 실비보험입니다. 급여와 비급여 항목을 구분하여 보장하며, 비급여 치료에 대한 자기 부담금 비율이 높아진 것이 특징입니다.

기존 2세대 실손보험과 비교하면, 비급여 의료비 부담을 높이고,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급여 항목에 대한 보장은 유지하는 구조로 변경되었습니다. 또한 도수치료, 비급여 주사, MRI 검사 등의 특정 비급여 항목에 대해 연간 보장 한도를 설정하여, 보험사의 손해율을 낮추는 방향으로 개편되었습니다.

 

2. 3세대 실손의료험의 주요 특징

3세대 실손의료보험은 기본형(급여 보장)과 특약형(비급여 보장)으로 구분되며, 가입자가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입원비 80% ~ 90% 보장(본인 부담금 10%):
    •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급여 치료는 본인 부담금 10% 적용
    • 비급여 치료는 본인 부담금 20% 적용
    • 비급여 특약 치료는 본인 부담금 30% 적용
  • 통원치료 시 본인 부담금 적용:
    • 의원(동네 병원): 1만원 공제 또는 급여 10%, 비급여 20% 합산 후 큰 금액 공제 후 한도내에서 보상
    • 종합병원(중형 병원급): 1만 5천원 또는 급여 10%, 비급여 20% 합산 후 큰 금액 공제 후 한도내에서 보상
    • 상급종합병원(대형 병원급): 2만원 또는 급여 10%, 비급여 20% 합산 후 큰 금액 공제 후 한도내에서 보상
    • 약국: 8천원 공제 후 급여 10%, 비급여 20% 합산 후 큰 금액 공제 후 한도내에서 보상
  • 비급여 치료 보장(일부 본인 부담금 및 한도 적용):
    • 각 항목별 도수치료, 체외충격파, 증식치료 350만원 / 비급여 주사 250만원 / 영상진단 300만원 한도 설정
    • 도수치료, 체외충격파, 증식치료 및 비급여 주사는 각각 50회 한도 적용
    • 해당 항목 이용 시 본인 부담금 30% 적용
  • 비급여 항목 특약 분리:
    • 3세대 실손보험은 급여와 비급여 항목을 별도 특약으로 구분
    • 가입자가 원할 경우 비급여 보장을 제외한 기본형(급여 항목만 보장) 선택 가능
  • 갱신형 상품:
    • 일정 주기(1년 또는 3년)마다 보험료가 갱신되며, 연령 증가에 따라 보험료가 오를 수 있음
  • 현재 신규 가입 불가:
    • 2021년 6월 이후 판매가 중단되었으며, 기존 가입자만 유지 가능

 

3. 3세대 실손의료보험의 장점

3세대 실손의료보험은 2세대 실손의료보험보다 자기 부담금이 증가했지만, 현재 판매 중인 4세대 실비보험보다는 여전히 유리한 보장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보험료가 상대적으로 저렴:
    • 1~2세대 실손보험과 비교하면, 비급여 항목의 자기 부담금이 높아진 대신 보험료가 낮아짐
  • 급여 치료 보장이 유지됨:
    •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급여 항목은 10~20%의 자기 부담금으로 유지됨
  • 비급여 항목 보장이 가능:
    • 3세대 실손보험은 비급여 보장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음
  • 특약 가입 여부 선택 가능:
    • 비급여 치료를 잘 받지 않는다면, 비급여 특약을 해지하고 급여 항목만 유지하는 것도 가능

4. 3세대 실손의료보험의 단점

3세대 실손의료보험에도 몇 가지 단점이 존재합니다.

  • 비급여 항목 자기 부담금 증가:
    • 1~2세대 실손보험과 비교하면 비급여 항목 자기 부담금이 일부 증가하여, 병원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에게는 불리할 수 있음
  • 특정 비급여 치료의 연간 한도 제한:
    • 도수치료, 비급여 주사, MRI 검사의 연간 보장 금액 및 횟수 한도가 설정되어 있음
  • 보험료가 여전히 갱신될 가능성 있음:
    • 보험료가 낮아졌다고 하지만, 갱신 시 보험료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음
  • 비급여 특약 해지 시 보장 축소:
    • 비급여 특약을 해지하면 비급여 항목 보장이 전혀 되지 않으므로, 가입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불리할 수 있음

5. 3세대 실손의료보험, 유지할까 전환할까?

3세대 실손의료보험은 보장 범위가 넓고 비급여 항목도 포함되어 있어 여전히 유리한 보험 상품입니다.

  • 병원을 자주 간다면 유지가 유리:
    • 비급여 치료를 자주 이용하는 경우, 4세대 실비보험으로 전환하면 본인 부담금이 더 커질 가능성이 크므로 유지하는 것이 좋음
  • 보험료 부담이 크다면 특약 해지 고려:
    • 비급여 특약을 해지하면 보험료를 낮출 수 있으므로, 병원을 자주 가지 않는다면 특약 해지를 고려해 볼 수 있음
  • 가능하면 가급적 유지:
    • 현재 납입하고 있는 보험료가 크게 부담되지 않는다면, 기존 3세대 실손보험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할 가능성이 큼

※ 정리

3세대 실손의료보험은 입원비 급여 90%, 비급여 80%보장, 그 외 특약 70% 보장. 통원치료 시 일부금액 공제 후, 특정 비급여 항목(도수치료·MRI·주사 치료) 연간 350만 원 한도가 적용되는 구조입니다.
1~2세대 실손의료보험보다는 보장 범위가 축소되었지만, 4세대 실손의료보험과 비교하면 여전히 유리한 조건이 많습니다. 비급여 항목 보장을 유지하고 싶다면 기존 3세대 실손의료보험을 유지하는 것이 더 유리할 가능성이 큽니다.

반응형